주식매매

딥시크 충격회복 빅테크 사랑을받는 기업들

짱덕이 2025. 2. 6. 06:15

오늘의 키워드 : 관세전쟁 / 실적 / 빅테크 / 빅테크의 사랑을받는 기업들 / 일론머스크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이 모두 발표된 이후의 시황

'실적이 깡패다' 시장에 대한 지배력이 높은 빅테크 기업들의 기존 매출구조의 한계일까

큰 실적하락을 보인건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그래도 전망치에는 조금 못미치는 결과로

주가가 하락하고있다 실적시즌은 변동성이 확실히 높군

더불어 기존 빅테크 기업들은 새로운제품(매출)에 대한 투자를 피할수가없다

새로운 기술개발과 매출영역의 확대를 위해서 투자비용이 높은거 아닌가 우려가 있지만

빅테크 기업들의 입장으로썬 할수밖에없다는것 남들보다 빨리

그래서 빅테크 기업들을 대상으로 성장하는 회사들의 수혜가 확실히 시장의 트렌드인거같다

ex)팔란티어,브로드컴,엔비디아

빅테크 기업들을 고객으로 두고있는 이 기업들이 올 한해의 주도지 않을까

새로운 기술개발 메가트렌드의 시작 : 닷컴버블의 재현 AI버블?

물론 인터넷발달과 함께 관련기업들이 상장하는 족족오르고 실제로 인터넷이 전세계에 배포됬지만

모든 기업들이 살아남진 못했다 이점을 유의하여 AI가 미래에 꼭 필요하고 일상속에 상용화되어

인간의 삶을 좀 더 편하게 해주며 발달하겠지만 살아남을 기업을 잘 살펴보자

확실히 관세정책 이후로 수혜를 받았던 비관세적용기업들이 저조한 실적과 함께 많이 하락했다

빅테크기업들보단 AI / 에너지등 산업등이 주가상향을 보여주고있는 모습

 


딥시크 사태

딥시크에 직접적으로 납품한다고한 AMD 의 주가는 많이 하락하고

영향을받고 하락했던 엔비디아와 브로드컴은 주가를 대부분 회복했다

매수했는데 조금 늦게 산점이 아쉽다

관세도 그렇고 딥시크도 그렇고 기업에 모멘텀은 흔들리지않는 일시적인 하락(바겐세일)이였는데..

빅테크 실적과 앞으로의 수요가 있을거같아서 주가가 회복하는 이유라는 의견

 

구글 엔비디아칩 계속 구매의향 자본지출 늘리겠다 +  슈마컴 양산

딥시크 충격에 대한 하락분을 회복한 모습

 

브로드컴의 회복력이 더 좋은거같다 같은 테마산업군안에서 주가상승과 회복력은

대장주의 특징 빅테크8으로 뽑혀 2025 BATMAAN 에 추가로 편입된 브로드컴

작년 실적도 좋았고 앞으로 빅테크 기업들의 더 많은 수요를 얻을거같다

실적발표 2/26엔비디아 2/27브로드컴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주가가 많이 뛸거같은데

실적발표전까지 매집해가며 매매계획을 세워보자

🚨 속보 : 브로드컴 $AVGO 실적발표


🗓 회계연도 24년 3분기
💚 EPS $1.24 (예상 $1.21)
💚 매출 $13.07B (예상 $12.97B)

🔍 전년동기비교(GAAP)
- 총매출 +47% 증가
- 영업이익 -2% 감소
- 영업이익률 29%


🗓 회계연도 24년 4분기
💚 EPS $1.42 (예상 $1.38)
💔 매출 $14.05B (예상 $14.06B)

🔍 전년동기비교(GAAP)
- 총매출 +51% 증가
- 영업이익 +9% 증가
- 영업이익률 33%

 

에너지사업

 

\https://kr.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article-1349224

 

UBS 전략가들은 산업 전반에서 전기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전력 및 자원 부문에 대한 강력한 투자 논리가 형성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급증은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전기차(EV), 산업 전기화에 대한 수요 증가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AI 붐 역시 이러한 추세를 견인하는 핵심 요인이다. UBS에 따르면, 빅테크 기업들은 2025년까지 데이터 센터 용량 확대를 위해 2,500억 달러 이상의 자본지출(CapEx)을 투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주요 기업들은 연간 45% 이상의 성장률을 전망하고 있다.

 

사모투자 및 인프라 투자에서도 기회를 보고 있다. UBS는 "위험 감수 성향이 있는 투자자들에게는 데이터 센터 성장 및 에너지 전환 인프라를 지원하는 사모투자 및 인프라 투자 기회도 매력적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전기 장비, 소재, 유틸리티 부문 주식을 포함한 다각화된 투자와 함께, 데이터 센터 및 에너지 전환 인프라에 대한 사모 시장 투자를 고려할 것"을 조언하고 있다.

23.75 거래량과 함께 상승을 보인 1/30일의 고점을 뚫어주는 모습에서 2/6일 매수

같은 테마산업군안에서 대장주 올한해 90% 이상 급등한 오클로는

매일 신고가를 갱신하며 오르고 있다 대장주를 사는게 맞긴한데..

너무 오르기만하니까 떨어질게 두려워서 못샀다

계속 신고가를 갱신하는 이런 차트안에서는 손절을 짦게 잡고 매수해야할까?

포트폴리오의 다각화를 위해 많이 분산했다

양자 / 반도체 / 에너지 / AI 산업

꾸준한 팔로잉을 하면서 앞으로 미래를 주도할 산업안(기술주위주)에서 거래해보자


Tesla 독일 1월 신규 등록대수 59.5% 감소

 

최근 실적발표에서 저조한 모습을 보이면서 하락했다가 375 ~ 이후 일론머스크의 로보택시 상용화 얘기에 주가가 409불까지 에프터마켓에서 순식간에 급등락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현재 유럽에서 테슬라 차량판매가 부진하다는 얘기에 좀 더 

떨어지고 있는데 아직 시장에서 테슬라는 자동차판매기업으로만 보고있어서 주가에 영향을 많이 끼치는거같다

그도 그럴듯이 테슬라 매출의 70%는 차량판매에서 얻고있으니까

 

하지만 스페이스X / 테슬라 / 스타링크 / 로보택시 / X 등 테슬라 일론머스크는 사업을 다각화하고있고

자신만의 세상을 만들고싶어하는거같다 테슬라보다는 일론머스크를 믿고 투자하고 싶은 종목

테슬라는 오너의 영향력이 큰거같다,낭만파..맘에들어 투자해보고싶어

장기적관점에서 꾸준히 투자하고싶은 종목 주가가 많이 하락된건 오히려 좋은 투자기회

트럼프를 대통령으로 만들기위해서 X도 사고 트럼프 취임이후 11/15 주가가 309불이었는데 앞으로 4년간

트럼프옆에서 D.O.G.E의 수장도 맡고있고 그가 하고싶은 사업을 다 이뤄내지 않을까

로보택시가 상용화되고 시가총액 15조달러$ 를 얘기하는데 이뤄낼거같다 현재의 13배

종가에살걸 .. 마음이 급했나

 

다른 빅테크 기업들은 AI의 미래로 앱에서의 기술발전이라면

테슬라는 실생활에서 쓰는 자율주행차,로보택시 이런 산업에 관심갖고있다

다른 빅테크는 시장을 나눠먹지만 파이게임

테슬라는 시장을 새로 만들어내는거 같아서 영역이 달라서 좋은거같다

일론머스크의 행보 DOGE 정부효율부 수장 

하지만 다시 올랐죠 ? 증시에 충격이 일어나서 하락한다면 일시적일 가능성이 농후 현금 꼭 30% 보유하자 관영아
현금 50%로 해야되나 .. 증시에 돈이 줄지만 AI 기술주는 계속해서 큰 성장을 하지않을까 빅테크기업들의 방향성과 성장성 VS 디플레이션

오늘의 주요뉴스

 

파리 AI 정상회담, 트럼프와 딥시크에 관심 집중 (원문)

(source: Reuters)
(source: Reuters)

프랑스와 인도는 2월 10~11일 파리에서 ‘AI Action Summit’를 공동 개최할 예정이며, 약 100개국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기업 CEO들이 참석해 AI의 안전한 개발과 활용, 그리고 경제·사회적 영향을 논의할 것이라고 함

  •  

    특히, 미국과 중국이 AI 관리 원칙에 대해 비구속적 공동성명에 서명이 체결될지가 주요 관심사라고 함

 

구글, 매출 하회 및 대규모 AI 투자 발표에 주가 급락 (원문)

(source: CNBC)
 
(source: Reuters)

구글은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이 예상치를 소폭 밑돌았고, 인공지능(AI)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한 후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급락함

  •  

    구글 CFO는 '서버 투자가 가장 큰 비중이며, 데이터센터 확충을 통해 구글 서비스·클라우드·딥마인드를 지원할 것'이라고 전함

  •  

    또한 '수요-공급이 매우 타이트한 상황이며, 더 많은 용량을 온라인에 투입하기 위해 매우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임


실적 발표

  •  

    EPS: $2.15 (예상: $2.13)

  •  

    매출: $964.7억 (예상: $966.2억)

  •  

    광고매출: $724.6억 (예상: $717.3억)

  •  

    클라우드 매출: $119.6억 (예상: $121.9억)

  •  

    자본지출: $142.8억 (예상: $132.1억)

  •  

    25년 자본지출 전망: $750억 (예상: $579억)

 

AMD, 데이터센터 매출 하회 (원문)
(source: CNBC)
(source: AMD)

AMD의 4분기 실적은 매출과 EPS 모두 예상을 상회했지만, 핵심 사업인 데이터 센터 부문의 실적이 예상에 미치지 못하면서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약 6% 하락함

  •  

    연간 데이터 센터 매출은 전체적으로 강력한 성장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4분기 실적은 기대치를 하회함

  •  

    리사 수 CEO는 2024년에 50억 달러 규모였던 AI 관련 데이터센터 사업 매출이 향후 ‘수백억 달러’(tens of billions) 규모로 빠르게 확장할 것으로 본다고 전함


실적발표

  •  

    EPS: $1.09 (예상: $1.09)

  •  

    매출: $76.6억 (예상: $75.4억)

  •  

    데이터센터 매출: $38.6억 (예상: $40.9억)

  •  

    1분기 매출 전망: $68~74억 (예상: $70.4억)

 

EU, 트럼프와의 관세 분쟁 피하기 위한 협상 방안 모색 (원문)
(source: Bloomberg)
(source: Bloomberg)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위협에 대비하면서도,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 유예 조치를 보며 협상을 통한 해결 가능성에 희망을 걸고 있다고 함

  •  

    EU는 미국과의 무역 분쟁을 피하고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음

  •  

    EU는 LNG·비료·무기 등 수입 확대를 제안하며, 중국 문제(수출 통제·투자 심사·철강 과잉)에서도 미국과 공조할 여지를 모색 중이라고 함

  •  

    동시에, 2018년과 마찬가지로 미국 내 정치적 민감 업종을 겨냥한 보복관세 목록을 마련하고 있다고 함

트럼프, 새로운 관세전쟁 속 시진핑과 대화 서두르지 않아

  • 트럼프, 중국의 보복 관세에 대해 "괜찮다"고 밝혀
  • 중국산 대미 수출에 10% 추가 관세 부과
  • 중국, 소규모 미국 수입품에 제한적 관세 부과
  • 중국, 구글에 대한 반독점 조사 시작
  • 베이징, 금속 수출에 대한 통제 강화
워싱턴/베이징, 2월 4일(로이터)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화요일에 중국 수입품에 대한 10% 관세 부과로 인해 촉발된 세계 2대 경제 대국 간의 새로운 무역전쟁을 해소하기 위해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과 대화할 의향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트럼프의 관세에 대한 신중한 대응으로 화요일에 미국 수입품에 대한 표적 관세를 부과하고 , 구글을 포함한 여러 회사에 제재 가능성을 통보했습니다.